일반적으로 3D 프린팅은 플라스틱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적층하는 FDM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최근 상용화되기 시작한 금속 3D 프린팅은 레이저로 분말가루를 조사하여 굳혀서 만들어지는 SLA(SLM)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금속 3D 프린팅 방식에서 착안하여 전통 맷돌을 재해석하였다. 이러한 제품을 통해 분말로 생산된 맷돌을 사용하여 찻잎을 분말화시키는 사용 과정의 역설적인 발상과 행위의 순환성을 보여주고자 하였고 맷돌을 활용하여 다도를 통한 비움과 채움이 있는 순환적 휴식을 취하길 바라며 제품을 디자인하였다.
3D printing uses the FDM method, which involves layering using plastic filaments. However, recently commercialized metal 3D printing utilizes the SLA (SLM) method, which involves solidifying powdered metal by scanning it with a laser. Inspired by this metal 3D printing method, traditional millstones have been reinterpreted. Through such products, the paradoxical conception and action of pulverizing tea leaves using a millstone produced from powder are demonstrated, aiming to embody the cyclical rest of filling and emptying through the use of a millstone and a tea bowl.
aluminum / 3D printing / 140*140*145